긍정적
행동형성 |
- 과거 철없던 생활방식을 버리고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자발성을 기르는 프로그램
- 처음으로 공동체 생활을 경험하면서 적응을 위해 가장 어려워하는 단계
- 행동관리도구들은 여해 교육공동체에
대한 존중과 관심에서 출발
|
- 예비모임(pre-morning meeting)
- 아침모임(morning meeting)
- 참만남 그룹(encounter group)
- 직면하기(confrontation)
- 도움말 주기(pull up)
- 대화하기(talking to)
- 감정 다루기(deal with)
- 비상총회(general meeting)
- 공동체총회(house meeting)
|
감정, 심리
관리 |
- 여해 교육 공동체 가족 자신의 과거(두려움, 혼란, 죄책감, 심리적 상처)를 되돌아보며 현재의 관점에서 해결책을 발전시키는 과정
- 다양한 집단과 경험을 체험하며 타인과의 가치 공유를 통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자존감을 향상시킴
|
- 초기 면접(initial interview)
- 정규집단(static group)
- 사전적응교육(pre-adjustment course)
- 분노조절집단(anger management group)
- 주간 나누기(weekend wrap-up)
|
지적, 영적
발달 |
- 스스로 자신의 존재 의미와 목적을 알고 사랑하도록 돕는 과정
- ‘나는 누구이며, 무엇이 될 수 있는가?’, ‘나의 처한 환경과 상황을 정확하게 알고 이해할 수 있는가?’하는 물음에 답을 찾는 자아정체성 확립
|
- 세미나(seminer)
- 여해 치유교육공동체 철학
- 여해 치유 교육 공동체 생활철학
- 한 주의 주제(theme of the week)
- 저녁모임(Evening Meeting)
- 명상(Meditation)
|
역할과
생존 |
- 사회적 학습을 배울 수 있는 환경으로 지위별로 부여되는 단순한 역할부터 숙련을 요하는 역할까지 단계별로 경험
- 도전 정신과 업무에 대한 기술을 획득
- 개인의 직무능력 향상은 공동체 업무의 질적 향상에도 기여
|
- 여해 치유 교육 공동체 성장단계별 의무
- 역할세미나(Role Seminar)
|